Notes/주간회고

[주간회고] 2021-05-24 ~ 2021-05-30

humblEgo 2021. 5. 30. 21:20

5/24~5/30일간 작성한 일일회고
2021/5/24 월요일
2021/5/25 화요일
2021/5/26 수요일
2021/5/27 목요일
2021/5/28 금요일
2021/5/29 토요일

Facts (사실, 객관)

  • 지원한 A 기업의 1차 기술면접을 진행했다.
  • 코드숨 4주차 과제를 진행했다.
  • 스파르타 42 회의에 2차례 참석했다.
  • 사이드프로젝트 '페블'의 회의를 진행했다.
  • 오브젝트 책 6장을 읽고 정리했다.

Feelings (느낌, 주관)

  • 경영학과 출신으로서 AdTech는 계속 관심있었고, 작년 당근마켓 CTO님 강연 이후로 관심이 더 커져있는 상태였다. 그런데 마침 내가 지원한 팀 도메인이 AdTech였다. 덕분에 자연스레 AdTech 도메인의 용어와 트렌드를 학습할 기회가 왔다. 경험상 흥미 + 타이밍이 맞을 때 학습하면 제일 효율이 좋다, 놓치지 말아야지ㅎㅎ
  • 지원 기업에서 전달해준 사전 질문지에는 무려 10개 항목이 적혀있었다. 흥미롭고 의도가 명확히 느껴지는 질문들이었기에 쓰는게 불편하진 않았는데, 잘 쓰고 싶은 마음에 인풋을 꽤나 쏟고 말았다. 다행히 인사담당자님이 지금까지 본 답안 중 탑 3라고 멘트해주셨지만, 면접을 잘 봐야 의미가 있는 것..ㅎ..
  • 좋은 기회로 가지게 된 생애 첫 단독 기술면접..!에서는 부끄러움과 아쉬움이 남았다. 당연하지만, 적어도 이력서에 쓴 사항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답변이 가능한 상태로 면접에 임해야한다. 분명 내가 수행한 과제인데, 모호하게 설명했고 관련 개념들을 얕게 답변한게 너무 아쉽다. 내 무지와 어설픔을 인지할 수 있었던 감사한 경험이라고 생각하자.
  • 코드숨 4주차 과제를 진행하며 mockito와 JPA를 좀 제대로 파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. 시행착오가 생각보다 많았다.

Findings (배운 점)

  • 광고주 -> DSP -> 애드 네트워크 & 애드 익스체인지 -> SSP -> 광고매체 로 이어지는 AdTech 구조와 AdTech의 발전사를 학습했다.
  • 그로스 해킹의 퍼널(Funnel) 구축 및 AARRR 분석에 대해서 개념을 학습했다.
  • invocation에 대해서 학습했다.
    • invocation은 execution의 전단계로써 메서드를 호출하는 개념이다.
    • creator와 submitter의 관심을 분리시킬 때 요긴하게 쓰인다.
  • 웹서비스 확장 전략 개념을 학습했다.
  • mockito 사용 기준에 대해 학습했다. 아래는 설득력있었던 사용 기준.
    • 제어할 수 없는 영역에서 사용한다.
    • 로컬 구성이 가능한 저장소는 사용하지 않는다.
    • 레이어링의 경계에서 사용한다.
    • 참고: Mockito, 이대로 괜찮은가? <- 이 글의 참고 링크들이 참 유용하다.

Affimation (자기 선언)

나는 내가 부족한 부분을 정확히 인지하고 메꾸며, 마침내 성장해내는 개발자다.